엔비디아 칩 올리고 소프트웨어로 무장한 볼보 ES90

볼보가 지난 5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첫 공개한 플래그십 전기 세단 ES90은 SDV를 차저한다.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자동차(SDV)라는 의미다. 컴퓨터처럼 작동하고 수시로 업데이트를 해 오류를 개선하고 성능을 더 좋게 만드는 차로 이해할 수 있다.

볼보의 최고기술책임자 앤더스 벨은 “볼보는 소프트웨어 회사다”고 설명했다. 여전히 자동차 회사이지만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말해주는 상징적 발언이다.

주목할 것은 ‘듀얼 엔비디아 AGX 오린’이다. 이는 자율주행 자동차와 로봇을 위해 개발된 칩이으로 자율주행 2단계에서 5단계까지 확장 가능한 시스템온칩(SoC)이다.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은 “확장 가능하며 프로그래밍 가능한 소프트웨어 정의 인공지능(AI) 플랫폼”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초당 500조 연산능력을 갖춰 이전 세대인 엔비디아 자비에(Xavier) SoC 대비 8배 향상된 성능을 구현한다.

ES90이 SDV로 변화를 선언한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부품이 듀얼 엔비디아 AGX 오린 칩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1개의 라이다(Lidar)와 5개의 레이더(Radar), 7개의 카메라, 12개의 초음파 센서로 구성된 첨단 센서 시스템, 차량 내부에 위치한 운전자 이해 시스템(Driver Understanding System) 등 혁신적인 안전 기술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출고할 때보다 더 좋은 차를 수시로 경험하게 되는 셈이다.

볼보자동차 CEO, 짐 로완(Jim Rowan)은 “ES90은 우리의 가장 진보된 기술과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최상의 편안함을 결합해 고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볼보의 진정한 프리미엄 가치를 구현한 모델”이라며, “앞으로 EX90과 함께 차세대 플래그십 라인업 중 하나로 자리하면서, 코어 컴퓨팅의 힘을 활용한 ‘소프트웨어로 정의되는 자동차(SDV)’ 산업에 있어 우리의 리더십을 굳건히 하는 역할을 담당해 나갈 것”이라고 소개했다.

SDV측면에서 슈퍼셋 테크스택도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SPA2 아키텍처를 바탕으로 개발된 ES90은 볼보의 차세대 전기차 생산 전략인 ‘슈퍼셋 테크 스택(Superset Tech Stack)’을 적용했다. 이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듈 세트로 통합하는 개념으로, 앞으로 선보일 볼보의 모든 전기차의 기반이 된다. 이를 통해 차의 성능과 안전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이를 무선 업데이트(OTA) 방식으로 빠르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에는 새로운 커넥티비티, 안전 기술, 특정한 주행 행태에 따른 배터리 주행 거리 개선 등 차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개선 사항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오종훈 yes@autodiary.kr

latest video

news via inbox

Nulla turp dis cursus. Integer liberos  euismod pretium faucibua

[fusion_form form_post_id=”450″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

Leave A Commen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