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AutoDiary

모빌리티 위원회, “카카오 T 호출 가맹택시와 일반택시 차별없다” 결론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는 6일 온라인 기자 간담회를 개최하고, 카카오 T 택시 배차 알고리즘 소스코드 검증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는 출범 이후 지금까지의 활동 경과를 보고하는 한편, 남은 활동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최종 보고서의 완결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는 지난 1월 카카오모빌리티의 사회적 책임 강화 행보의 일환으로 ‘상생 자문 위원회’와 함께 발족한 기구로서, 택시 배차 시스템에 대한 객관적 진단을 위해 발족됐다. 활동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대한교통학회가 추천한 학계 교통분야 빅데이터 및 AI 전문가 5인으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알고리즘 핵심 원리에 대해 투명성 강화 차원에서 외부 공개를 권고했고, 이에 따라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4월 알고리즘을 외부에 공개했다.

위원회는 카카오 T 택시 배차 진행에 대한 모든 과정 공개와 함께 알고리즘의 차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배차 로직, 소스 코드, 소스코드와 서버 운영의 일치성, 배차 실적 데이터에 기반한 배차 로직 운영 현황 등 4가지 관점에서 정밀하게 검증했다.

이번 활동은 국내에서 택시 배차 시스템을 대상으로 이뤄진 첫 진단 및 연구로, 외부 전문가 집단으로서는 이례적으로 기업의 알고리즘 소스코드 전반을 직접 확인했다. 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를 불시 방문해 서비스가 구동되고 있는 실 운영서버 내의 소스코드를 확인하고, 17억 건에 달하는 택시 콜 발송 이력 데이터를 전수 분석하는 등 회사가 공개한 배차 알고리즘이 실제로 시스템에 반영돼 있는지를 면밀히 살펴봤다.

택시 영업 방식(가맹/일반/직영)과 승객 호출 거리에 따른 차별 로직은 존재하지 않았다. 일반호출 배차 로직 소스코드 전문을 입수해 분석 및 검증한 결과, 택시 영업방식(가맹/일반/직영)과 승객이 호출한 영업거리(단거리/장거리) 등에 대한 차별을 뒷받침하는 로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운영서버 불시 검증 및 콜 발송 이력 17억 건의 전체 분석 결과, 배차 로직이 실제 시스템과 일치해 위원회가 확인한 소스 코드대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목적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일반 기사와 목적지 정보 표시 없이 자동 배차 방식인 가맹기사 사이에 배차 수락률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일반 기사의 선택적인 콜 수락 행태에 의한 차이다.

택시 영업 방식(가맹/일반/직영)과 무관하게 모든 기사에게 충분한 배차 기회 제공되고 있다. 택시 영업 방식에 대한 의도적인 차별성을 검증한 결과, 위원회는 카카오 T 플랫폼 운영 실적에 근거한 배차 순서에 있어 99%에 달하는 대부분의 콜카드는 AI 시스템이 아닌, 기사의 과거 운행 행태가 반영되지 않는 ETA 스코어 배차에서 발송되고 있으며, 영업 방식에 관계없이 충분한 콜카드가 발송되고 있어 많은 기회가 고루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일반 택시 기사의 대기시간당 콜 카드 발송 건수는 100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AI 시스템이 기계학습 모형에 기반하다보니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한 시간이 소요됐고, 분석 결과 해당 기계학습 모형에서 여러 인자들을 활용하는데, 기사의 수락률, 승객에게 도착하는 예상 도착 시간(ETA)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기사의 배차 수락률이 가맹 기사보다 낮은 이유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해석이 가능하며, 일반 기사의 경우 선택의 자유도가 가맹 기사에 비하여 높을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기사 선택의 자유도’의 문제를 차별로 해석하기는 어렵다.

승객 호출에 따른 영업 거리(단거리/장거리) 등에 따른 차별 로직은 존재하지 않았다.

승객 호출 영업 거리에 따른 가맹과 일반 기사의 차별을 검증한 결과, 카카오 T 운영 플랫폼의 배차 알고리즘은 영업 거리(단거리/장거리) 등에 따른 차별을 뒷받침하는 로직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실적 데이터 분석 결과, 콜 카드 발송 대비 수락률은 가맹/일반 기사군 사이에 편차가 있고, 이는 목적지 미표시 자동배차와 목적지 표시 선택배차 시스템에 따른 골라잡기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며, 이는 예상 운행 거리에 따른 발송 대비 수락률 차이로 확인할 수 있다.

일반 기사는 목적지 정보 표시 기반의 배차 수락이 선택 가능한 시스템으로 예상 운행 거리를 콜 카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수익성이 좋은 장거리 호출의 수락률이 단거리 보다 높다. 이에 반해, 가맹기사는 목적지 정보 미표시 기반의 배차 자동 수락 시스템으로, 예상 운행 거리를 수락 시점에 알 수 없기 때문에 거리에 따른 수락률 차이가 크지 않다.

앞으로 위원회는 지금까지의 검증 결과와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최종 보고서 발간을 목표로 다음의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공급 대비 수요가 많은 경우와 수요 대비 공급이 많은 경우에 대한 실적 데이터를 분석할 계획이다. 특히 수락률이 콜카드 수신 기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들을 시간대 및 지역별로 보다 면밀히 분석해,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개선할 사항들이 있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또한, 호출 승객, 가맹 기사, 일반 기사, 운수 사업자와 학계를 포함해 호출 서비스의 공공성 확보에 대한 각계 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카카오 T 택시 서비스의 개선 방향에 대해서 제안할 계획이다.

김현 모빌리티 투명성 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검증 과정을 통해 국내 모빌리티 플랫폼이 사회와 교통 편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심도있게 모색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사회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택시 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승객, 가맹기사, 운수사업자, 학계, 정부, 등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승객-기사-카카오모빌리티 3자가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배차 방향성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이상진 daedusj@autodiary.kr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