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다이어리

현대차, 연구개발본부에 유연성 더한다…미래차 전략

현대자동차그룹이 미래 자동차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연구개발(R&D) 조직을 기능 중심의 병렬구조(5개)에서 복잡성을 줄인 삼각구조(3개)로 개편했다.

현대차그룹은 9일 자동차 품질과 신뢰성 향상은 물론 수익성을 높여 R&D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기 위해 조직체계를 개선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조직 개편으로 차량 기본 골격과 콘셉트를 선행 개발하는 ‘제품통합개발담당’을 통합·신설해 ‘아키텍처 기반 시스템 조직(SBO)’의 뼈대를 갖췄다.

기존에 프로젝트 매니지먼트(PM)·설계·전자·차량성능·파워트레인(PT) 담당 등 5개의 병렬구조였던 연구개발본부의 조직체계를 ▲제품통합개발담당 ▲시스템부문(4개담당) ▲PM담당의 삼각형 구조로 단순화해 차량 개발의 복잡성을 줄이고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디자인담당과 상용담당은 연구개발본부 내 별도 조직으로 운영된다.

새로운 R&D 조직은 차량의 기본 골격을 의미하는 아키텍처를 중심으로 자동차 콘셉트를 선행 개발하는 ‘제품통합개발담당’과 자동차에 탑재되는 주요 개별 기술을 개발하는 ‘시스템부문’, 그리고 앞선 두 부문과 협업해 자동차를 최종 완성하는 ‘PM담당’ 등 3개 부문의 상호 유기적 협업을 기반으로 운영될 방침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기본 구조 위에 기술을 쌓고 차별성을 부여하는 ‘삼각 편대’ 구조”라며 “R&D 조직 개편은 미래차 산업 기술 리더십 강화를 위한 발판”이라고 설명하고 “자율주행, 전동화, 인포테인먼트 분야 역시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해 미래 모빌리티 경쟁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제품통합개발담당은 자동차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전체적인 기본 구조를 잡아주고 최종 단계에서 다시 종합적인 차량의 성능 조율을 맡는다. 제품통합개발담당은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와 차량성능개발센터로 구성된다.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는 차량 개발의 뼈대가 되는 아키텍처 개발 단계부터 시장 요구사항을 반영,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술이 빠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밑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 개발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선행연구 부분을 더 강화한 것이다. 차량성능개발센터는 자동차 개발 최종 단계에서 소음·진동(NVH), 안전, 내구, 에어로다이내믹 등 통합적 차량 성능 개발을 지휘해 상품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삼각형 구조의 다른 꼭짓점인 시스템부문은 제품통합개발담당에서 마련한 자동차 개발 기본 콘셉트 안에 담기는 주요 핵심 기술개발을 담당한다. 차량의 기술적 기둥이 되는 네 가지 핵심 요소인 ▲섀시(현가, 조향, 제동) ▲바디(차체, 내외장) ▲전자 ▲파워트레인 총 4개 담당 체계로 구성되며, 각기 독립적인 조직을 구축해 분야별 기술 전문성을 높인다.

특히 4개 시스템 부문은 분산돼 있던 설계·해석·시험 부문을 통합한 ‘완성형 개발 조직’으로 각각 구성돼 부문별 독립성을 대폭 끌어올리면서 책임을 강화했다. 개발된 신기술이 다양한 차종에 빠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부품의 모듈화·표준화 기준을 정립해 구매부터 생산, 협력사까지 이어지는 협업 구조를 구축한다.

마지막 꼭짓점인 PM담당은 제품통합개발담당에서 만들어진 차량의 기본 콘셉트를 바탕으로 차량의 각 시스템 부문에서 개발한 기술을 차급과 브랜드별로 최적화해 상호 간섭을 막고 차별화된 제품 개발을 책임진다. 기존의 브랜드와 차급 개념이 섞인 ‘혼합 구조'(제네시스, EV고성능, 소형, 중대형, RV)에서 전 브랜드를 아우르는 ‘차급 구조’ (경형, 소형, 준중형, 중형, 대형 센터)로 개편됐다.

더불어 각 PM 조직 내에 기존에는 분리돼 있던 ‘사용성 평가’ 기능을 배치함으로써 개발 중인 차량을 고객의 입장에서 항시 점검하고 보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PM담당 역시 시스템 부문과 마찬가지로 제품개발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강화됐다.

이 밖에도 현대차그룹은 가상공간 시뮬레이션을 강화하기 위해 제품통합개발담당 산하에 버추얼차량개발실을 신설했다. 자율주행 기술 분야 등에서 실물 제작과 주행 시험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여 개발속도를 높이고 품질 안정화에 기여하게 된다.

알버트 비어만 현대차그룹 R&D본부 사장은 “이번 조직구조 개편으로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고객 요구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연구개발 환경과 협업 방식의 변화를 통해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는 미래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2003년 R&D의 통합적 역량 향상을 위해 각 지역에 분산돼 있던 현대차·기아차의 연구개발 기능을 모아 통합 조직을 출범했다.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던 2000년대 중반에는 글로벌 전략차종 등 다양해진 제품 라인업 개발 세분화를 위해 차종, 차급 단위의 플랫폼 기반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2012년에는 자동차의 기본성능과 감성품질 강화를 목표로 기능 전문화 중심의 조직으로 재편하는 등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개발 조직 혁신을 추진해왔다.

박소현 parking@autodiary.kr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