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 인사이트는 10개 부문에서 국산차-수입차간 소비자 만족도를 비교 조사한 결과 회사 이미지가 국산차업체의 가장 큰 약점이었다고 6일 밝혔다.
새 차 구입자에게 그 차를 만든 회사에 대해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를 물은 결과 만족률은 국산차 회사 38%, 수입차 회사 53%로 큰 차이가 있었다. 현대와 기아는 33%, 34%로 국산-수입을 통틀어 가장 낮았다. 소비자의 불만은 자동차 자체보다는 제작사에 더 크고 그 대상은 현대-기아로 밝혀졌다.
자신이 구입하여 보유하고 있는 차 회사 종합 만족도에서 10점 만점에서 8점 이상을 준 비율은 국산 38%, 수입 53%로 15%의 큰 차이가 있었다. 이 차이는 내구품질 만족률(19%) 다음으로 큰 차이다.
전체 브랜드 중에서는 토요타와 렉서스가 각각 73%, 72%로 가장 높았고, 국산 중에서는 르노삼성(54%)과 한국지엠(50%)이 상위를 차지했다. 국산과 수입 간의 차이는 국산 1위인 르노삼성이 수입 브랜드의 평균수준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국산 브랜드가 보인 40%에도 미치지 못하는 만족률은 세계 어느 시장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낮은 수준이며, 이는 현대와 기아가 끌어내린 결과라고 컨슈머인사이트는 지적했다.
수입차 중에서 지난 1년간 시련을 겪고 있는 폭스바겐만이 현대차와 견줄만해 현대의 고객평가가 얼마나 차가운지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가가 어떻게 변해온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20개의 국산-수입 브랜드를 제시하고 각각을 1년 전과 비교해 더 긍정적, 더 부정적 중 어느 편으로 보는지 답하게 했다.
더 긍정적으로 보는 답은 ▲한국지엠 34% ▲르노삼성 30% ▲랜드로버 27% ▲벤츠 23% ▲재규어 21%의 순이었으며, 더 부정적으로 본다는 답은 ▲폭스바겐 64% ▲아우디 32% ▲현대 29%가 따랐고, 그 뒤가 일본 브랜드들이었다.
현대는 현재 만족률에서 최하위권인 동시에 부정적 변화가 큰 회사임을 알 수 있었다.
국내 5개 제작사의 이미지가 일시적인 것인지 지속적으로 변화해 온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지난 1년 전에 비해 이미지가 가장 좋아진 회사와 가장 나빠진 회사를 하나씩 지적했다.
이 결과 2011년부터 정리해 변화를 확인했다. 금년도 조사에서 가장 많이 좋아진 회사는 한국지엠이 39%로 타사를 크게 앞섰으며 르노삼성, 쌍용, 기아는 10%대 후반을 현대는 유일하게 한 자리 숫자를 기록했다.
한국지엠은 쉐보레로 출범하던 2011년부터 34%로 출발해 44%까지 상승했다가 다소 주춤했으나 2013년부터 4년 연속 가장 좋아진 회사의 자리를 지켰다.
현대는 6년 내내 9~11% 사이의 좁은 틀에 갇혀 있었고, 3년 연속 최하위에 머물렀다. 기아는 2011년 41%로 좋아진 회사 1위였으나 매년 하락해 16%까지 내려왔으며 현대에 근접해가고 있다.
현대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증가하면서 기아에 대한 긍정적 태도까지 감소하고 있다.
가장 많이 나빠진 회사는 현대가 45%로 압도적이었으며 ▲쌍용 22% ▲르노삼성 13% ▲한국지엠 11% ▲기아 8% 순이었다.
2011년 이후 현대는 나빠졌다는 반응이 20%에서 45%로 증가했고, 2014년부터 가장 나빠진 회사로 3년 연속 1위를 지키고 있다. 이 결과를 보면 현대는 지난 6년간 지지 세력은 늘리지 못하면서 거부세력은 두 배 이상 키웠다. 소비자와의 관계를 잘못 다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차에 대한 정서적 거부감이 수입차 시장을 키우고 있다. 디젤게이트 악재가 터짐에도 수입차 시장은 식을 줄 몰랐다.
1년 전에 비해 수입차 살 생각이 더 커졌다(29%)가 더 작아졌다(21%)보다 8% 높았으며 국산차를 사겠다는 생각은 더 작아졌다(22%), 더 커졌다(15%)보다 7% 많았다.
수입차에 큰 악재가 있어도 국산차로 돌아가겠다는 소비자는 많지 않다. 수입차 안에서 대안을 찾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현대차가 잘못을 해도 모두 용서되던 시절이 있었다. 그것이 한국을 수입차의 무덤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제 호시절은 끝났으며 상당수가 여건만 된다면 수입차로 건너가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들은 매서운 눈으로 현대차가 우리를 역차별 하는 것은 아닌지 지금도 지켜보고 있다고 컨슈머인사이트는 지적했다.
이상진 daedusj@autodiary.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