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자동차, 처음 보지?

Last Updated: 2016-11-14Tags: ,

img_5471

 

이번 달 19일부터 내년 2월5일까지 제주 돌 문화공원 오백장군 갤러리에서 초대전으로 개최되는 <하석홍>展은 작가가 직접 제작한 돌을 소재로 평면, 오브제, 설치, 변형된 자동차 등 다양한 작업들을 선보이는 전시회다.

작가가 오랜 시간동안 전국의 쓰레기장과 공업사 등을 돌며 습득한 결과물인 인조석은 제주도의 돌들과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작가는 “돌은 척박이 새겨진 문신이며 문명의 시작이자 문명의 미래다”라고 말했다.

특히 그가 제주도의 돌에 주목한 점은 제주도 자체가 돌로 이루어졌다는 점과 다른 지역의 돌과 달리 삶의 근원에 가까운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이다. 또 돌은 문명의 원천이다. 돌 속에 포함된 다양한 광물 성분들이 바로 인간의 문명을 탄생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돌에 대한 탐구는 인간문명의 탐구이며, 우리 사람의 근원에 대한 탐구인 것이다.

하석홍에게서 돌은 생명의 중심이지만 물질문명에 대한 반대의 시금석이기도 하다. 이러한 돌은 세상에 대한 냉소와 저항의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나 하석홍은 예리한 절단보다는 비틀기를 선택한다. 작가는 돌들을 하늘에 띄우기도 하고 물 위에 떠내려 보내기도 한다.

이번 전시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벽면작업으로 돌의 부분들이 캔버스 위에 부착되거나 이미지화된 작업이다. 두 번째는 설치작업으로 전시장 중앙에 다양한 돌들이 놓여진다. 세 번째는 그가 특허를 받은 자동차 개조작업이다. “굴러가는 자동차와 박혀있는 石, 박힌石에 굴러온 차,”그의 자동차는 첨단 디자인의 세련된 형태가 아니라 돌들이 박힌 투박한 형태가 강조되는 작업이다.

그의 몽상은 돌들을 통해 과거로 돌아가고 미래로 나아가기도 한다. 그는 투박한 돌에서 자유로운 정신을 읽어내고 있다. 그래서 그의 자동차는 세련됨을 거부한다. 빠름과 세련, 날렵함으로 대변되는 현대의 삶은 우리를 편안하게 하지만 결국 우리의 삶을 갉아먹는 이중성을 갖고 있다. 우리가 던진 돌은 하늘로 한 없이 뻗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중력을 통해 되돌아와 우리의 뒤통수를 때린다. 하석홍의 자동차는 우리의 어리석음과 이중성을 고발하는 것이다.

이제 하석홍의 자동차는 제주도에만 머물지 않고 바다로 나아가고 육지로 나아간다. 더 이상 인위적인 장애는 존재하지 않는다.

img_5711

이상진 daedusj@autodiary.kr

latest video

news via inbox

Nulla turp dis cursus. Integer liberos  euismod pretium faucibua

[fusion_form form_post_id=”450″ hide_on_mobile=”small-visibility,medium-visibility,large-visibility” /]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