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산업연구회와 한국생산성학회가 함께 15일 ‘한국 자동차산업의 미래와 비전’이라는 주제로 추계 학술대회를 명지대학교에서 개최했다.

학술대회는 서울대학교 김현철 교수(국제대학원)의 기조 연설을 시작으로 판매와 유통, 해외시장 개척, 노사관계, 동반성장의 총 4개 세부 주제 발표와 패널 토의 및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한국 자동차산업의 성과와 과제’라는 주제로 기조 연설에 나선 서울대 김현철 교수(국제대학원)는 지난 10여 년간 한국 자동차산업이 이룬 성과에 대해 “2000년대 들어 품질 제고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확대 성장을 통해 선진업체 추격에 성공했다”면서 “이 과정에서 고용 창출, 세수 확대, 무역수지 개선 등 한국 경제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고 평가했다.

김교수는 하지만 “최근 한국 자동차산업이 처한 상황은 과거 일본업체의 위기를 초래했던 6重苦와 비슷하다”며 선진국의 경제 위기, 신흥국의 성장 둔화, 환율 하락 등을 예로 들었다. 특히 일본 대지진 사태를 극복하고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일본업체의 부활로 한국 자동차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교수는 10년 뒤의 세계 자동차시장은 신흥국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연평균 4%대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하며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고 산업 리더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과거와는 다른 한국차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교수는 “그린&스마트카 및 브랜드가치 향상으로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고, 완성차 및 부품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혁신적 R&D 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국내 생산거점을 글로벌 마더 팩토리화함으로써 고용 안정과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첨단기술 융합 발전을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뿐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도 자동차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자동차업계뿐 아니라 정부와 학계의 공동 노력을 주문했다.

한편, 두 번째 발표자로 단국대학교 정연승 교수는 ‘한국 자동차산업의 판매와 유통’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최근 기능적 마케팅에서 감성적 마케팅으로 변화하는 마케팅의 소프트화에 주목하면서 “개인별 맞춤 서비스와 CEM(고객경험관리)의 확대를 통해 고객 로열티를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서강대학교 이강표 교수는 ‘한국 자동차산업의 해외시장 개척’에 대해 발표하면서 “수출과 해외 생산의 균형을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최적화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국내 거점의 글로벌 허브화를 통해 고용 안정과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국 자동차산업과 노사관계’에 대해 발표한 명지대학교 이정현 교수(경영학과)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노동 유연성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배치전환 확대와 교육 확대에 노사 모두가 더 큰 관심을 가지고 논의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노동연구원 조성재 선임연구위원은 ‘자동차산업 원하청기업의 동반성장’이라는 제목의 발표에서 “한국 완성차업체의 국제화는 부품업체들에게 또 다른 성장의 기회를 제공했다”며 “지속가능한 동반성장을 위해 이제부터는 부품업체 인력의 고도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완성차와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정부, 대학, 연구기관, 이종산업 기관 등이 참여하는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자동차 컨퍼런스 이후에는 한국생산성학회 세션별 학술발표가 진행되어, 제1분과 ‘정보∙기술 생산성’과 제2분과 ‘금융∙환경 생산성’, 제3분과 ‘서비스 생산성’에서 총9편의 논문이 발표됐다.

오종훈 yes@autodiary.kr